본문 바로가기

희토류 관련주 주가 전망, 중국 수출 중단으로 수혜보는 종목은?

멍키마이어 2025. 4. 17.

희토류 관련주 주가 전망, 중국 수출 중단으로 수혜보는 종목은?

희토류 관련주 주가 전망
희토류 관련주 주가 전망

 

국내 증시에 상장된 희토류 관련주들은 최근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 및 글로벌 공급망 이슈로 인해 주목받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희토류 관련 상장사로는 유니온, 유니온머티리얼, 동국알앤에스, 노바텍, 현대비앤지스틸, 티플랙스, 쎄노텍 등이 있습니다. 각 기업별로 희토류와의 연관성, 사업 개요, 주요 사업 분야를 중심으로 자세히 소개합니다.

유니온 (000910) 주가 전망

 

유니온은 국내 희토류 관련주 중 가장 대표적인 종목으로 꼽힙니다. 본사는 백시멘트, 알루미나 시멘트 등 특수시멘트와 고부가가치 세라믹 소재를 생산하는 기업입니다.

 

2024년 기준 매출액 약 1,150억 원, 영업이익 15억 원을 기록했으며, 저평가된 가치주로도 평가받고 있습니다. 유니온이 희토류 테마주로 분류되는 가장 큰 이유는 희토류 정제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 52주최고가/최저가: 7,500원/3,360원
  • 시가총액:943억원
  • PBR/BPS:1.13배/5,326원
  • 매출액: 2,182억원(2024년)

특히 희토류 가공에 필수적인 산화세륨 등 희토류 원소를 직접 생산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 있습니다. 또한, 자회사인 유니온머티리얼을 통해 희토류 대체 소재인 고특성 페라이트 마그넷을 생산하고 있어, 미중 무역갈등 등으로 인한 희토류 공급 불안 시 반사이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유니온은 희토류 원료 정제 및 관련 광물 수입·유통을 담당하며, 희토류 가격 상승 시 자회사 실적과 연동되어 주가가 움직이는 경향이 강합니다. 최근에는 희토류 대체 소재 개발, 친환경 기술 도입 등으로 첨단 산업 소재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유니온머티리얼 (047400) 주가 전망

 

유니온머티리얼은 유니온의 종속회사로, 국내에서 유일하게 희토류 영구자석 소재인 페라이트 자석을 대량 생산하는 기업입니다. 본사는 대구 성서공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포항과 대구에 공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유니온머티리얼의 주요 제품은 자동차 모터용 자석, 산업용 세라믹 부품, 절삭공구 등으로, 특히 페라이트 마그넷은 희토류 자석의 대체재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이 회사는 세계적인 품질의 페라이트 마그넷을 비롯한 첨단 세라믹 부품을 국내외에 공급하며, 전기차, 가전, 전자, 기계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 52주최고가/최저가:3,085원/1,891원
  • 시가총액:863억원
  • PBR/BPS:5.61배/367원
  • 매출액:1,084억원(2024년)

최근에는 전기차 및 가전산업의 성장과 함께 자석 수요가 증가하면서, 희토류 대체 소재로서의 페라이트의 가치가 부각되고 있습니다. 유니온머티리얼은 희토류 금속 가공 및 응용 제품 개발에 특화되어 있으며, 기술장벽이 높아 경쟁업체가 적고 안정적인 수익구조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동국알앤에스 주가 전망

 

동국알앤에스는 동국산업그룹 계열사로, 제강용 내화물과 특수금속, 산화물 등 첨단 산업소재를 생산하는 기업입니다. 연간 78,000톤 규모의 내화물 생산시설과 30,000톤 규모의 철강 생산시설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동국알앤에스가 희토류 테마주로 분류되는 이유는 독점적인 정제 기술을 바탕으로 희귀금속과 산화물 제품을 생산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호주 희토류 생산 기업과 금속정제공장 공동 개발 협약을 맺는 등 글로벌 희토류 공급망 구축에 적극적입니다.

  • 52주최고가/최저가:4,150원/2,275원
  • 시가총액:474억원
  • PBR/BPS:0.60배/4,282원
  • 매출액:1,104억원(2024년)

또한, 삼성SDI 등 대기업에 전기차 배터리 관련 부품을 납품하며, 희토류 수요 증가에 따른 반사 이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자체 기술개발을 통해 특수 내화물의 국산화에 성공했으며, 희토류 제련 설비를 호주 ASM에 납품하는 등 해외 시장 진출도 확대하고 있습니다.

 

동국알앤에스는 희토류 및 희귀금속의 정제, 가공, 응용 분야에서 성장 잠재력이 높은 기업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퓨리오사AI 관련주 TOP 7 종목 주가 전망

노바텍 주가 전망

노바텍은 희토류 영구자석과 응용자석을 생산하는 기업으로, 삼성전자 등 대기업에 쉴드마그넷(전자파 차폐 자석)을 납품하고 있습니다. 전체 매출의 약 51%가 쉴드마그넷에서 발생하며, 스마트폰, 폴더블폰 등 첨단 IT 기기에 필수적으로 사용됩니다.

 

노바텍은 중국 현지에서 희토류 자석 사업을 영위하며, 미중 무역갈등 등으로 인한 중국의 희토류 무기화 정책에 대응해 동남아 시장 진출과 라오스 현지 희토류 광산 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52주최고가/최저가:27,800원/10,160원
  • 시가총액:2,469억원
  • PBR/BPS:1.39배/16,848원
  • 매출액:658억원(2024년)

2023년 라오스 민간기업 및 베트남 연구기관과 희토류 광산개발 MOU를 체결했고, 탐사 및 예비조사를 위해 라오스 법인을 설립했습니다. 이처럼 노바텍은 희토류 자석의 안정적 공급망 확보와 더불어, 2차전지 배터리용 전자석탈철기, 스마트폰용 특수필름 등 신사업도 적극적으로 추진 중입니다. 중국 의존도를 줄이고 글로벌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하려는 전략이 특징입니다.

현대비앤지스틸 주가

현대비앤지스틸은 스테인리스 냉연강판 제조를 주력으로 하는 기업이지만, 희토류 관련주로 분류되는 이유는 희토류 영구자석 생산기업인 성림첨단산업의 최대 주주이기 때문입니다.

 

성림첨단산업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희토류 영구자석을 생산하는 업체로, 공업용 희토류 자석, 전자석, 자석 응용기기 등을 제조합니다. 이 자석들은 전기차 모터, 항공기, 휴대전화 등 첨단 산업 전반에 필수적으로 사용됩니다.

  • 52주최고가/최저가:23,150원/9,890원
  • 시가총액:1,877억원
  • PBR/BPS:0.37배/33,980원
  • 매출액:7,954억원(2024년)

최근 중국의 희토류 자석 제조기술 수출 금지 등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가 커지면서, 현대비앤지스틸과 성림첨단산업의 희토류 영구자석 생산 역량이 더욱 주목받고 있습니다. 현대비앤지스틸은 스테인리스강의 부식 저항성과 내열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산업에 진출해 있으며, 희토류 자석 분야에서도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티플랙스 주가

티플랙스는 스테인리스 및 희소금속 제품을 주요 사업으로 하며, 스테인리스 봉강 및 후판을 가공해 국내외 다양한 산업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티플랙스가 희토류 관련주로 분류되는 이유는 희귀금속 소재의 유통과 가공 역량에 있습니다. 전기차 배터리, 전자제품, IT 기기 등 첨단 산업에서 필수적인 희토류 및 희소금속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며, 1,500여 개의 국내외 매출처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 52주최고가/최저가:3,675원/2,310원
  • 시가총액:785억원
  • PBR/BPS:0.49배/6,540원
  • 매출액:2,075억원(2024년)

최근 미중 무역갈등 등 글로벌 공급망 이슈가 부각될 때마다 티플랙스의 주가는 급등과 하락을 반복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티플랙스는 LNG 선박, 전기차 배터리 모듈 소재 시장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으며, 희토류 외 특수금속 소재의 전문 유통사로서 시장 내 입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쎄노텍 주가

쎄노텍은 국내 최초로 세라믹 비드 양산화에 성공한 업체로, 분쇄·분산용 세라믹 비드, 용접재료용 플럭스, 지르콘 분체 등을 생산합니다.

 

세라믹 비드는 희토류 등 광물을 분쇄하는 데 필요한 핵심 소재로, 반도체 및 배터리 산업에도 일부 연관되어 있습니다. 쎄노텍은 자체 원재료 설계 및 분쇄·분산기술을 바탕으로 고부가가치 특수소재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 52주최고가/최저가:1,198원/549원
  • 시가총액:456억원
  • PBR/BPS:1.32배/760원
  • 매출액:315억원(2024년)

희토류 대체 소재 및 고부가가치 특수소재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플럭스와 세라믹플러스 등 다양한 비드제품을 국내외에 수출하고 있습니다. 원자재 가격 급등에도 불구하고 기술 기반 성장에 집중하고 있어, 미래 가격 경쟁력 신장이 기대되는 기업입니다.


이상으로 국내 상장 희토류 관련주 주요 기업과 각 사의 사업 개요, 희토류 연관성을 정리했습니다. 최근 글로벌 공급망 이슈와 첨단 산업 성장에 따라 희토류 관련 기업들의 중요성은 더욱 커질 전망입니다. 투자 시 각 기업의 희토류 사업 비중, 기술력, 글로벌 공급망 전략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위 내용은 투자 권유를 위한 글이 아니며 정보성 글입니다. 모든 투자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으므로 투자 결정 시 신중한 선택을 하시기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