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격진료 비대면진료 관련주 10종목 주가 전망
원격진료 비대면진료 관련주 10종목 주가 전망
케어랩스
케어랩스는 2012년 설립된 헬스&뷰티케어 플랫폼 기업으로, 모바일 헬스케어와 뷰티케어 플랫폼을 중심으로 다양한 의료정보 서비스와 디지털 마케팅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주요 사업은 병의원 정보 제공, 의료기관용 고객관리(CRM) 소프트웨어, 온라인·모바일 광고 서비스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케어랩스는 의료 서비스의 접근성과 편의성을 높이고, 의료 정보의 불균형 해소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52주 최고가/최저가:4,480원/1,980원
- 시가총액/시가총액순위:553억원/코스닥1175위
- PBR/BPS:1.14배/2,497원
- 매출액:832억원(2024년)
병의원과 소비자를 연결하는 플랫폼을 통해 의료기관의 마케팅과 운영 효율성을 높이며, 환자에게는 신뢰할 수 있는 의료정보와 예약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또한, 의료기관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는 솔루션 사업을 강화하고 있으며, 헬스케어 산업 내 다양한 파트너십을 통해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케어랩스는 코스닥 상장사로, 헬스케어와 IT기술의 융합을 통해 원격진료 및 비대면진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인성정보 주가
인성정보는 1992년 설립된 IT서비스 및 시스템 통합(SI) 전문기업으로, 컴퓨터시스템 통합 자문 및 구축, IT 인프라 컨설팅, 네트워크 통합, 클라우드 구축, 유지보수 등 다양한 IT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 52주 최고가/최저가:3,730원/1,411원
- 시가총액/시가총액순위:1,076억원/코스닥 702위
- PBR/BPS:1.21배/1,756원
- 매출액:3,596억원(2024년)
주요 사업 분야는 네트워크 시스템(LAN, WAN, 무선랜), ERP, APS, E-Solution, IPT/IPCC 솔루션,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등입니다. 특히, 의료기관을 위한 IT 인프라 구축과 헬스케어 솔루션 제공에 강점을 가지고 있으며, 디지털 헬스케어와 원격진료 환경에 필요한 네트워크 및 시스템 통합 역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인성정보는 국내외 주요 IT 벤더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첨단 의료 IT 환경을 구축하고, 의료기관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코스닥 상장사로서, 의료 IT 시장에서 지속적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유비케어 주가
유비케어는 1994년 설립된 GC녹십자그룹 계열의 헬스케어 IT기업으로, 국내 병의원 전자의무기록(EMR) 시장 점유율 1위 기업입니다.
대표 제품인 ‘의사랑’(EMR)과 ‘엠팟’(약국 EMR)을 비롯해, 의료용품 유통, 제약 데이터 분석, 의료기기 및 의약품 자동화 조제기 등 다양한 헬스케어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 52주 최고가/최저가:5,450원/3,045원
- 시가총액/시가총액순위:2,080억원/코스닥 343위
- PBR/BPS:2.04배/1,955원
- 매출액:1,906억원(2024년)
최근에는 모바일 헬스케어 플랫폼 ‘똑닥’ 등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유비케어는 EMR 솔루션, 의료용품 유통, 제약 데이터 사업을 3대 축으로 하며, 병의원과 약국의 업무 효율화, 환자 편의성 증대, 의료 데이터 기반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원격진료 및 비대면진료 환경에서 필수적인 의료정보 시스템과 연계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습니다.
블루엠텍 주가
블루엠텍은 의약품 및 의약외품 B2B 플랫폼 사업을 중심으로 IT기술 개발, 플랫폼 개발, 온·오프라인 마케팅, 의약품 유통 및 실시간 모니터링 플랫폼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입니다.
의약품 유통의 효율성과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IT 기반의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으며, 의료기관과 약국, 제약사 간의 원활한 거래를 지원하는 플랫폼을 제공합니다. 또한, 의약품 및 의료용품의 유통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대응할 수 있는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 52주 최고가/최저가:29,450원/8,860원
- 시가총액/시가총액순위:1,432억원/코스닥533위
- PBR/BPS:9.10배/1,407원
- 매출액:1,333억원(2024년)
블루엠텍은 IT와 헬스케어의 융합을 통해 비대면진료 및 원격진료 환경에서 필요한 의약품 공급망 관리와 데이터 기반 서비스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토마토시스템 주가
토마토시스템은 2000년 설립된 IT 솔루션 기업으로, UI/UX 개발툴, 테스트 자동화 솔루션, DB모델링툴, SSO 등 다양한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대학 ERP, 디지털헬스케어, AI 챗봇, 개인정보처리 서비스 등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 52주 최고가/최저가:13,060원/3,855원
- 시가총액/시가총액순위:1,248억원/코스닥 619위
- PBR/BPS:4.40배/1,806원
- 매출액:216억원(2024년)
특히, 디지털헬스케어 분야에서는 의료기관의 정보화와 업무 효율화를 위한 솔루션을 개발·공급하며, AI 챗봇 등 비대면 서비스와 연계된 헬스케어 플랫폼 구축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토마토시스템은 IT기술을 기반으로 의료기관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고, 원격진료 및 비대면진료 환경에서 필요한 다양한 소프트웨어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차바이오텍 주가
차바이오텍은 첨단 바이오의약품(세포치료제, 유전자치료제) 개발과 상업화, 글로벌 CDMO(위탁개발생산) 사업을 주력으로 하는 바이오기업입니다.
차병원그룹의 바이오 기술력을 바탕으로, 난치성 질환 치료를 위한 줄기세포 및 면역세포 치료제, 제대혈 줄기세포 보관, 유전체 연구 및 진단, 정밀의료 서비스 등을 제공합니다.
- 52주 최고가/최저가:17,077원/9,260원
- 시가총액/시가총액순위:5,919억원/코스닥91위
- PBR/BPS:2.35배/4,459원
- 매출액:10,450억원(2024년)
또한, AI와 빅데이터 기술을 융합한 디지털헬스케어 서비스 및 모바일 기반 의료정보 솔루션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차바이오텍은 병원/의료정보체계 고도화, IT시스템 구축, 글로벌 임상 및 생산 역량을 바탕으로 원격진료 및 비대면진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지케어텍
이지케어텍은 의료정보시스템(HIS) 및 전자의무기록(EMR) 솔루션 개발·공급을 주력으로 하는 의료 ICT 전문기업입니다. 대표 제품인 BESTCare 시리즈와 클라우드 기반 병원정보시스템(EDGE&NEXT) 등은 국내외 대형병원에 도입되어 있습니다.
- 52주 최고가/최저가:20,750원/12,940원
- 시가총액/시가총액순위:1,248억원/코스닥 618위
- PBR/BPS:3.23배/5,661원
- 매출액:679억원(2024년)
빅데이터 분석, 의료 AI 솔루션, 진료정보 표준화, ICT 기술융합 등 미래 의료기술 연구개발에도 적극적입니다. 이지케어텍은 병원정보시스템의 구축·운영, 기능개선, 유지관리, 국책과제 수행 등 다양한 사업을 통해 의료기관의 디지털 전환과 비대면진료 환경 구축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인피니트헬스케어
인피니트헬스케어는 의료영상 저장·전송시스템(PACS) 및 3차원 의료영상 소프트웨어 개발을 주력으로 하는 헬스케어 IT기업입니다. 국내 PACS 시장 점유율 1위로, 55개국 6,300여 의료기관에 소프트웨어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 52주 최고가/최저가:6,290원/3,800원
- 시가총액/시가총액순위:1,393억원/코스닥 548위
- PBR/BPS:0.78배/7,298원
- 매출액:1,016억원(2024년)
AI 기반 정밀의료 소프트웨어(닥터앤서) 개발에도 참여하며, 내시경 영상 분석, 대장용종·대장암 진단 등 첨단 의료영상 분석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인피니트헬스케어는 의료영상 데이터의 디지털화와 원격 판독, 비대면진료 환경에서 필수적인 의료영상 정보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습니다.
마크로젠
마크로젠은 1997년 설립된 유전체 분석 기반 정밀의학 생명공학기업으로, 유전체 분석, 마이크로바이옴 서비스, 데이터 비즈니스, 신약 개발 등 다양한 고부가가치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 52주 최고가/최저가:24,600원/14,700원
- 시가총액/시가총액순위:1,762억원/코스닥 435위
- PBR/BPS:1.10배/14,834원
- 매출액:1,358억원(2024년)
개인 질병 예측, 맞춤의학 실현, 원격진료 플랫폼 등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으며, 국내외 기업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마크로젠은 AI 기반 유전체 데이터 분석, EMR 연계 서비스, 글로벌 종합검진센터 운영 등 정밀의료와 원격진료를 위한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메디포스트
메디포스트는 2000년 설립된 글로벌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 기업으로, 동종 제대혈유래 중간엽줄기세포치료제(카티스템) 등 첨단 바이오의약품을 개발·상용화하고 있습니다.
- 52주 최고가/최저가:15,180원/5,450원
- 시가총액/시가총액순위:2,902억원/코스닥 241위
- PBR/BPS:1.28배/6,642원
- 매출액:707억원(2024년)
국내 제대혈은행 1위 사업자로서,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 임상시험, 세포·유전자 치료제 CDMO(위탁개발생산) 사업을 주력으로 합니다.
메디포스트는 난치병 치료제 개발과 함께, 미래 신성장동력인 글로벌 세포·유전자치료제 시장 진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디지털 헬스케어와 연계된 맞춤형 바이오 자원 관리, 원격진료 환경에서의 바이오의약품 공급 등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이상으로 원격진료와 비대면진료 관련주 또는 테마주로 분류되는 종목 중에서 10개를 알아봤습니다. 이외에도 더 많은 관련주에 대한 정보는 아래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희토류 관련주 주가 전망, 중국 수출 중단으로 수혜보는 종목은? (0) | 2025.04.17 |
---|---|
퓨리오사AI 관련주 TOP 7 종목 주가 전망 (0) | 2025.04.16 |
한화 배당금 지급일 주가전망 및 목표주가 (1) | 2025.03.11 |
현대건설 배당금 지급일 배당 기준일 목표주가 (0) | 2025.03.11 |
삼성증권 배당금 지급일 확인방법 및 목표주가 (1) | 2025.03.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