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하이브 주가 전망 목표주가 배당금 뉴진스 탈퇴 선언 영향은?

멍키마이어 2024. 11. 29.

하이브 주가 전망 목표주가 배당금 뉴진스 탈퇴 선언 영향은?

하이브(352820)는 BTS와 뉴진스를 비롯한 여러 인기 아이돌 그룹을 보유한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서, 지속적인 성장 가능성에 힘입어 투자자들의 큰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하이브의 주가 현황, 주요 투자 지표, 기업 실적 분석, 투자 포인트, 그리고 투자 리스크에 대해 심층적으로 분석하겠습니다. 

하이브 주가 전망 목표주가 배당금 뉴진스 탈퇴 선언 영향
하이브 주가 전망 목표주가 배당금 뉴진스 탈퇴 선언 영향

하이브 주가 동향

2024년 11월 29일 기준, 하이브의 주가는 전일 대비 2.80% 하락한 197,800원으로 마감되었습니다. 최근 주가 동향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52주 최고가: 261,000원 (2024년 1월 11일 기록)
  • 52주 최저가: 157,700원 (2024년 9월 23일 기록)
  • 거래량: 539,534주
  • 시가총액: 약 8조 2,513억 원

하이브의 주가는 뉴진스의 글로벌 팬덤 확장과 BTS의 완전체 활동에 대한 기대감에도 불구하고, 최근 자회사 어도어와의 계약 해지 및 관련 논란으로 인해 단기적인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추가 주가 동향 분석

11월 29일 한국거래소의 자료에 따르면, 하이브 주가는 개장 직후 전 거래일 대비 6.63% 하락한 19만 원에 거래를 시작했습니다. 이후 18만 9,300원까지 하락했으나 낙폭을 줄여, 오전 11시 20분경 3.44% 하락한 19만 6,500원에 거래되었습니다.

 

하이브는 소속 그룹 방탄소년단(BTS)의 완전체 활동에 대한 기대감 덕분에 16일부터 4거래일 연속 상승하여 21만 7,500원까지 올랐습니다. 그러나 국내 증시의 전반적인 부진과 더불어 뉴진스의 내용 증명과 관련된 어도어의 대응이 미뤄지면서, 28일에도 3.78% 하락해 20만 3,500원으로 마감되었습니다.

 

뉴진스는 지난 13일 어도어를 향해 부당한 대우 등에 대한 시정을 요구하며, 29일 자정까지 시정되지 않을 경우 전속계약을 해지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러한 발표는 시장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하이브 주가의 변동성에 주요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주요 투자 지표 분석

PER, PBR, EPS

  • PER (Price Earnings Ratio): 67.70배 (2024년 예상)
  • PBR (Price Book-value Ratio): 2.80배
  • EPS (Earnings Per Share): 2,923원 (2024년 예상)

하이브의 PER은 동종 업계 평균보다 높은 수준으로, 이는 시장이 하이브의 성장 가능성에 대해 상당한 기대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높은 밸류에이션은 주가 상승 여력을 제한할 수 있는 리스크로 작용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PER이 높다는 것은 기업의 수익성에 대한 기대가 반영된 것이지만, 기대에 미치지 못할 경우 주가가 큰 폭으로 하락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이러한 측면을 신중히 고려해야 합니다.

하이브 배당금

  • 2023년 배당금: 주당 700원
  • 배당수익률: 약 0.35%

하이브는 비교적 낮은 배당 수익률을 보이며, 성장성에 더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는 하이브가 배당보다는 지속적인 글로벌 확장과 IP 사업 확장에 집중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즉, 투자자들은 배당 수익보다는 기업의 장기적인 성장성을 기대하고 투자해야 합니다.

기업 실적 분석

연간 실적

 

하이브는 음악과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를 기반으로 꾸준히 성장해 왔습니다. 연간 실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 2021년 매출액: 12,559억 원
  • 2022년 매출액: 17,762억 원 (+41.5%)
  • 2023년 매출액: 21,781억 원 (+22.6%)
  • 2024년 예상 매출액: 21,958억 원 (+0.8%)
  • 2021년 영업이익: 1,902억 원
  • 2024년 예상 영업이익: 2,103억 원 (-12.1% YoY)

하이브는 2023년까지 매출이 꾸준히 증가하였으나, 2024년에는 어도어와의 계약 해지로 인해 영업이익이 다소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글로벌 팬덤과 IP 사업의 성장에도 불구하고 내부적인 이슈가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따라서 기업의 안정적인 성장을 위해 내부 문제의 신속한 해결이 요구됩니다.

분기별 실적

 

하이브는 2024년 3분기 기준 매출 5,000억 원대를 유지하며 안정적인 수익 창출을 보여주었습니다. 하지만 4분기에는 어도어 관련 매출 감소로 인해 실적이 다소 하락할 가능성이 큽니다. 이는 특히 팬덤 중심의 사업 모델에서 개별 아티스트의 영향력이 크다는 점을 보여주며, 향후 사업 다각화와 수익원 확보가 매우 중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하이브 투자 포인트

글로벌 IP 확장

하이브는 BTS, 세븐틴, 뉴진스, 르세라핌 등 다양한 인기 아이돌 그룹을 중심으로 IP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전 세계적으로 강력한 팬덤을 형성하고 있으며, 하이브의 주요 성장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 글로벌 팬덤 기반: 뉴진스는 짧은 시간 안에 글로벌 톱 아티스트로 자리 잡았으며, BTS의 완전체 활동은 향후 주가 상승의 주요 기대 요소로 평가됩니다. BTS는 여전히 하이브의 가장 중요한 자산으로, 완전체 활동 재개는 전 세계 팬들에게 큰 기대를 안기고 있으며, 이는 하이브 매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 다각화된 사업 모델: 하이브는 공연, 음반, 굿즈, 플랫폼 등 다양한 수익 모델을 통해 안정적인 매출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특히 굿즈와 음반 판매는 팬덤의 적극적인 참여를 반영하며, 하이브의 매출 성장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다각화된 사업 모델은 하이브가 IP 중심의 콘텐츠 비즈니스에서 선도적 역할을 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플랫폼 사업 - 위버스(Weverse)

하이브의 팬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인 위버스는 전 세계 팬들과 아티스트를 연결하는 중요한 도구입니다. 2023년 기준 위버스의 월간 활성 사용자 수(MAU)는 1억 명을 돌파하며, 플랫폼의 성장 가능성을 입증했습니다.

위버스는 광고 및 전자상거래 기능을 추가로 도입하여 플랫폼의 수익성을 더욱 높일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팬들에게 아티스트와의 소통을 증대하는 가치를 제공하면서 동시에 하이브의 수익 다각화를 실현하고 있습니다. 위버스는 단순한 팬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을 넘어 전자상거래와 광고 플랫폼으로 확장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플랫폼 내 경제 활동이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글로벌 M&A 전략

하이브는 이타카 홀딩스를 인수하며 글로벌 시장으로의 확장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미국, 일본, 유럽 시장에서의 네트워크 확장은 하이브의 매출 다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이타카 홀딩스 인수를 통해 스쿠터 브라운이 매니지먼트하고 있는 아티스트들과의 시너지를 창출하고, 하이브의 글로벌 팬덤 확장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글로벌 M&A 전략은 하이브가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시장의 핵심 플레이어로 도약하는 데 중요한 발판이 될 것입니다.

리스크 요인 분석

아티스트 활동 중단 및 갈등

최근 어도어와의 계약 해지 이슈는 하이브의 브랜드 이미지와 매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주요 아티스트와의 갈등이나 활동 중단은 하이브 실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리스크 요인입니다. 팬덤의 반응에 따라 브랜드 가치가 크게 변동될 수 있기 때문에, 하이브는 아티스트와의 관계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합니다.

높은 밸류에이션 부담

하이브의 PER이 67.70배로 동종 업계 평균보다 높은 수준은 주가 상승 여력을 제한하는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이는 회사의 미래 성장 가능성이 이미 주가에 반영되어 있어 추가적인 주가 상승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실적이 기대에 못 미칠 경우 투자자들에게 큰 실망을 줄 수 있으므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경쟁 심화

JYP, SM, YG 등 주요 경쟁사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빠르게 확장하고 있어 하이브의 시장 점유율 유지가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특히 뉴진스와 같은 그룹의 성장에 대한 의존도는 경쟁 심화에 따른 리스크를 증가시킵니다. 하이브는 경쟁 우위를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인 혁신과 아티스트 육성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글로벌 팬들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차별화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데 주력해야 합니다.

결론 및 종합 주가 전망

 

하이브는 강력한 IP 기반과 글로벌 확장 전략을 통해 높은 성장성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BTS의 완전체 활동 재개와 뉴진스의 글로벌 팬덤 확대는 하이브의 장기적 성장 동력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이러한 강력한 IP는 하이브의 매출 성장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며, 글로벌 팬덤 확장과 끊임없는 팬 소통은 매출 상승으로 이어질 것입니다. 다만, 최근 어도어와의 계약 해지 이슈와 높은 밸류에이션 부담은 단기적인 주가 상승을 제한할 수 있는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리스크에 대한 철저한 관리와 단기적 변동성에 대한 대비가 필요합니다.

하이브 목표주가

  • 목표주가: 276,562원 (1년 내)
  • 투자 의견: 매수

키움증권, 대신증권 등 16개 기관에서 추정한 하이브의 목표주가는 276,562원입니다. BTS 완전체 활동 및 뉴진스의 글로벌 팬덤 확대는 장기적인 주가 상승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플랫폼 사업과 M&A를 통한 매출 다각화는 긍정적인 투자 포인트로 평가됩니다. 또한 글로벌 IP 확장을 통해 하이브는 글로벌 팬층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으며, 다양한 수익 모델을 통해 안정적인 매출 성장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투자 권유를 위한 글이 아님을 밝힙니다. 모든 투자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으니 신중하게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댓글